BBC News - 중국의 대기오염 문제(China's PM2.5 Crisis) image

BBC News - 중국의 대기오염 문제(China's PM2.5 Crisis) 방송 디자이너인 Sophia Kyriacou는 Cinema 4D의 다양한 툴 세트들에 의지하여 중국 도시들의 공해 문제를 설명하였습니다.

BBC 특파원이 베이징의 바쁜 시가지에 서서 대기중의 미립자 문제, 특히 카본 침전물과 유기 화합물 및 금속 입자들의 결합체인 PM2.5 즉 직경 2.5 마이크론 이하의 미립자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도시들에서 나타고있는 PM2.5의 높은 수치는 주요 관심사로서 이에 대한 위험을 주목할 수 있도록 이 뉴스가 기획되었습니다. 물론, 이 미립자들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이 미립자들의 실제 특성들을 이해하기 어렵고 따라서 이 미세한 오염 물질의 위험 또한 인지하기 어려운 속성이 있습니다.

이를 일련의 시퀀스로 보여주어야 하는 작업이 런던의 BBC에서 1998년 이래 근무하고 있는 방송 디자이너인 Sophia Kyriacou에게 주어졌습니다. "시청자들에게 보다 쉽게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이해하고 분간할 수 있는 비교 자료를 시퀀스로 만드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였습니다". "B아주 충분히 작은 소립자들 즉, 예를 들어 모래 알갱이를 사용하여, 시청자들에게 PM 2.5는 이 보다 20배나 작은 미립자라는 정보를 제공하면 시청자들은 이 작은 오염 물질이 매우 심각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이 해설 시퀀스는 BBC Science Unit의 의뢰로 만들어졌으며, 다른 모든 Sophia의 작업들 처럼 이 또한 해설하는 톤이나 스타일 및 타이포그라피등에서 채널의 브랜드와 일치하여야 합니다.

Sophia는 실제 촬영 장소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계획대로 영상이 도착하도록 사전에 약간의 준비가 필요하였습니다. "우리는 아웃도어의 느낌을 얻기 위하여 Broadcasting House 지붕에서 테스트 영상을 찍고 R&D에서 씬의 조명에 사용하고 다른 카메라 샷과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몇가지를 준비하였습니다. 이 영상이 런던에 제공되자 곧바로 많은 추가 작업들이 계속 이루어져 완료되었습니다," Sophia의 설명입니다.

시퀀스의 첫 부분은 PM 2.5 입자를 표현하는 하나의 구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되었으며, 하나의 모래 입자가 거대한 규모로 폭발하였습니다. 구가 손안에 일치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리플렉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Sophia는 구 밑에 플로어 오브젝트를 추가하고는 프론탈 프로젝션을 이용하여 비디오를 플로어 오브젝트에 매핑하였습니다; 그런 다음 구가 손과 그 주변을 완벽하게 반사하도록 합니다. 아주 크게 만들어진 모래알은 Cinema 4D의 노이즈 기능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스된 기본 오브젝트입니다.

이 두 요소들은 알파 매트를 가진 정지 이미지로 렌더링되었으며, 또한 특파원의 손 위에 섀도우를 추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앰비언트 어클루젼 패스가 사용되었습니다. 콘트라스트 레벨은 Photoshop에서 조정한 다음 그 이미지를 Adobe After Effects로 임포트하여 라이브 액션 샷에 트랙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트래킹 마커의 부족과 HD 영상을 진행하는 동안의 압축 레벨로 인하여 더욱 어려운 상황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 작업은 After Effects에 내장된 트래커를 사용하고 결과를 수동으로 보정하여 해결하였습니다.

시퀀스의 두번째 파트는 글라스 박스와 다수의 파티클이 포함된 것으로서, 더욱 더 어려운 작업이었습니다. "글라스는 어떤 것도 숨길 수 없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소재입니다," Sophia의 말입니다. "글라스는 전체 시퀀스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한 결정적인 기술적 요소였으며, 만일 이 부분이 제대로 되지않으면 무언가 잘못된 것처럼 보이게 될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구들이 실제 해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보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는 큐브의 뒷 부분을 약간 성에가 끼도록 만들어 좀더 도드라지도록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투명도에 블러를 추가한 별도의 백 글라스를 적용하여 완성하였습니다."

Sophia는 Cinema 4D의 Sun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씬에 조명을 가하였으며, 글라스와 구 파트들을 하이라이트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키 라이트를 함께 사용하였습니다. "촬영된 영상은 강한 섀도우를 갖고 있기 때문에," Sophia의 설명입니다, "이를 통하여 개략적으로 시간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시간과 날짜 설정을 조절하면서 촬영된 영상과 가능한 일치하는 씬을 만들었습니다."

조명을 완료하기 위하여, 그녀는 비디오 영상의 한 프레임을 가져와서 Sky 오브젝트 주위를 감싸는 방법으로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표현했습니다.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은 이 씬이 제대로 동작하도록 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서 내가 만든 3D 오브젝트들이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 오브젝트들이 위치해야 할 실제적인 환경에 최대한 자연스럽게 위치되어야 합니다. GI없이는 이는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나는 촬영된 영상을 '가상 HDRI'로 사용하여 씬을 비추고 태양광과 씬의 키 라이트에도 이를 적용하였습니다." Sophia의 설명입니다.

Cinema 4D의 MoGraph 툴세트 또한 PM2.5 '파티클'을 생성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클로너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구를 복제하였으며, Radial 설정과 Random 및 Delay 이펙터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나는 딜레이 이펙터를 참 좋아합니다." Sophia의 말입니다. "딜레이 이펙터는 오브젝트들에게 캐릭터의 느낌을 주어, BBC Business Unit을 위한 Paper Town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광범위하게 사용하였습니다."

글라스 리플렉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비디오 영상이 별도의 플레인에 추가되고 컴포지팅 태그를 이용하여 카메라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리플렉션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큐브 주위에서 보일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아주 잘 블렌드되어 벗어난 것처럼 보이지 않았는 데, 이는 간단한 트릭이지만 매우 가치있는 결과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시퀀스의 전체 마지막 부분은 락트오프 샷(locked off shot)으로 촬영되었으며, 박스의 정적인 매트를 렌더링하여 반사하는 글라스 박스와 애니메이션되는 구 모두의 애니메이션을 컷 아웃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런 다음, 섀도우 추가 및 여분의 하이라이트 끌어내기와 같은 더 정교한 처리를 위하여 이를 깨끗한 배경 플레이트 위로 다시 컴포지팅할 수 있었습니다."

최종 단계는 After Effects에서 어두운 비네팅으로 칼라 그레이드하여 약간 오염된 느낌을 주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최종 시퀀스는 PromaxBDA Global Excellence Award에서 'Best Art Direction & Design: News Program Informational Graphics 부문에 노미네이션되어 Sophia에게 Bronze 메달을 안겨 주었습니다.


Author

Steve JarrattCG 매니아/기술 저널리스트 -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