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king Animations Personal Uber Eck가 TOCA ME 20 Titles를 위한 발표자들을 캐릭터화 한 것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매년, TOCA ME 디자인 컨퍼런스는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가장 진보적인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을 한데 모아 창의성에 대한 국제적인 리더들의 발표를 듣습니다. 이 행사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로서, TOCA ME 주최자들이 선택한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집니다.
뮌헨에 본사를 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Uber Eck는 2020년에 TOCA ME 20의 타이틀을 만들어 달라는 의뢰를 받았습니다. 완전한 창조적 자유를 부여받은 이 팀은 그날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예술적인 시퀀스를 만들기 위하여 Cinema 4D, Houdini, After Effects 의 조합을 사용하였습니다. Uber Eck 의 세 명의 감독 중 한 명인 Niklaus Hofer 는 "스타일, 디자인, 컨셉 모두 전적으로 우리에게 달려 있었습니다"고 회상하며, 유일한 요구조건은 발표자들의 이름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자유로운 형태의 브리핑을 통한 작업은 이제까지의 Uber Eck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벗어날 수 있도록 영감을 주었습니다. 하나의 창조적인 리더를 갖기 보다는, Hofer는, 스튜디오의 다른 두 감독인 Tobias Alt와 Sebastian Schmidt와 함께 팀을 이루어 각각이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협력적인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캐릭터화된 발표자
그 노력은 긴 연구개발 단계로 시작되었습니다. 호퍼, 알트, 슈미트는 아이디어를 개발하여 서로에게 전달하는 데 약 6주를 보냈습니다. 그 과정에서, TOCA ME 의 발표자들이 각각 창의적인 입력을 처리하여 이를 새로운 예술 작품으로 전달함으로써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Uber Eck 가 시각화하면서 완성된 작품에 대한 개념이 떠오르기 시작하였습니다. 호퍼는 "우리는 발표자들을 각자 자신의 세계에 살고있는 각기 다른 캐릭터로 표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고 말하며, 이 캐릭터들은 회의 도중 마이크와 유사한 다음 사람에게 넘겨지는 무언가에 의하여 중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비주얼은 발표자들을 명시적으로 묘사하거나 그들의 작품을 모방하지 않고 각 발표자의 스타일을 암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픽 디자이너 Ariane Spanier의 이름이 화면에 나타나면서 3차원 공간에 페이지가 펼쳐지는 것으로 타이틀이 시작됩니다. 격자 기반 디자인의 선구자 크리스토프 그룬베르거가 소개될 때에는, 이 페이지는 다음 장면으로 옮겨져, 광채나는 정사각형 배열을 가진 배경 전면의 직선을 따라 이동하는 휘몰아치는 작은 점들로 변환됩니다.
호퍼는 "모든 사람들이 우리가 작업한 내용이 그들의 성격과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느꼈는지는 모르지만 아직 아무런 불만이 없었습니다 "고 말했다. "그들의 성격에 대한 요약은 오로지 우리의 소름끼치는 인터넷 스토킹에 기초했기 때문에, 그것은 사실 그 과정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 중 하나였다." 예를 들어, 그들은 한 인스타그램을 통해 브렌던 도스가 맥주보다 차를 선호하기 때문에 그의 캐릭터는 찻잔을 뱉어냈는데, 이는 “a flippy-floppy, smoky, wobbly guy”로 묘사되는 에릭 케셀에게 전해집니다.

Uber Eck 팀이 자신을 대표할 캐릭터를 마련해야 할 때 창의적 도전은 반전되었습니다. 그들은 오래된 3대의 맥 컴퓨터들이 그 중 한대가 떨리기 시작하고 오래된 플로피 디스크를 뱉을 때까지 오작동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였습니다. 호퍼는 "우리가 하루 종일 하는 일의 괴팍한 특성 때문에 우리의 캐릭터는 컴퓨터여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며 "우리는 이미 늙었다고 느끼기 때문에 오래된 맥을 선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컨셉, 애니메이션 및 타이포그라피
Uber Eck이 직면한 주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수많은 매우 다양한 장면에 필요한 요소들을 관리하고 각 장면들 간의 유기적인 전환을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타이밍이 핵심이어서 각 애니메이션에 중요한 모든 것을 개별 레이어로 나눠 씬들이 원활하게 재생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Hofer는 "가장 큰 도움을 준 것은 바로 C4D 타임라인으로서, 매우 응답성이 뛰어나고 더 많은 키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확대/축소하고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고 말합니다.
Cinema 4D의 스플라인을 조인트로 변환 명령은 사인 형태의 파편화된 조각이 부서져 서로 떨어져 새로운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안무가인 Christian Mio Loclair 로 재현되고, 일본 일러스트레이터 시미즈 유코의 이름 뒤로 헤엄치는 붉은 세팔로포드처럼 리그를 설정하는 핵심 지름길입니다. 그들은 종종 시뮬레이션이 애니메이션을 위한 올바른 방법이라는 것을 발견하지만, 호퍼는 스튜디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 애니메이션이 때때로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고 말합니다. " 스플라인을 조인트로 변환하는 커맨드는 우리에게 C4D 내에서 사물들을 디자인하는 데 커다란 자유를 제공하여,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리깅되어 애니메이션화된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Uber Eck 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핵심 결정을 내리기 위해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습니다. 애니메이션이 거의 완성되자, 그들은 비주얼 위에 다른 글꼴을 배치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 중 하나는 크고 두꺼운 강조체였지만, 그들은 그것이 그들이 그토록 열심히 만든 것의 너무 많은 부분을 가리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호퍼는 "그래서 우리는 최종 버전에서 보다 미묘한 접근법을 취했고 각각의 연사를 위한 작은 애니메이션에 약간의 사랑을 더했다"고 말했습니다.

Uber Eck 는 컨퍼런스를 불과 이틀 앞두고 TOCA Me 주최 측에 타이틀 시퀀스를 보여주었습니다. 고객은 이 작품을 좋아했고, 호퍼, 알트, 슈미트는 자신들이 만든 것을 이렇게 권위 있는 디자인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게 되어 감격했습니다. " 우리의 오랜 꿈이 실현되었습니다,"라고 호퍼는 말합니다, "우리가 작업한 베스트 샷이라고 해야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