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기반 미학으로 모션 디자인 재정의 image

음악 기반 미학으로 모션 디자인 재정의 세트 앵글(Set Angle)은 Maxon  One의 무한한 잠재력을 강조하는 활기찬 시청각 경험을 창조합니다.

강렬한 2D 및 3D 그래픽과 재즈 힙합 비트를 특징으로 하는 세트 앵글은 독창적이고 감정이 풍부한 스타일의 애니메이션과 모션 디자인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세트 앵글의 창립자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임세티 테일러(Imsety Taylor)는 임세티로 더 잘 알려진 아티스트이자 기술자 겸 모션 디자이너로, 음악에 대한 열정과 비트 제작에 대한 재능에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더합니다. 임세티는 재즈, 힙합, EDM, 레게에서 영감을 얻어 다른 시대의 시각적, 음악적 스타일을 변형하여 강렬한 그래픽 형태와 대담한 색상, 소울풀한 리듬을 혼합하여 작업합니다. 

임세티는 Maxon One 덕분에 창의적인 진화를 이루었다고 말하며, Cinema 4D, Redshift, Red Giant, Universe를 활용해 다층적인 콘셉트를 구현하며, 애니메이션과 합성에는 After Effects를 사용합니다. 

Maxon의 눈길을 사로잡은 세트 앵글은 2025년 4월 출시 예정인 Maxon One 프로모션 작업을 의뢰받았습니다. 그에 앞서 우리는 임세티에게 그의 창의적 영감과 그의 여정을 형성한 프로젝트, 도구, 기법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임세티에게는 창의적 활동이 그의 주요 영역이었으며,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 모션 디자인, 음악, 비트 제작을 시작했습니다. 청소년 시절부터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로 활동했으며, 그는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자신의 여정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2019년 애틀랜타에서 열린 3D + 모션 디자인 쇼에서 Maxon의 마티아스 오모톨라(Mathias Omotola)와의 우연한 만남은 그에게 모션 디자인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깨닫게 했고, 그가 넓게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의 열정과 창의적 방향성은 그가 2022년에 설립한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인 '세트 앵글'에서 구체화되었습니다. 현재 그는 독립적으로 또는 브랜드 및 에이전시와 협력하여 브랜드 비디오, 제품 광고, 타이틀 시퀀스, 몰입형 이벤트 그래픽, 뮤직 비주얼 등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주목을 끄는 자체 프로젝트와 함께, Rock The Bells x Ford, Chick-fil-A, Kaiser Permanente와의 클라이언트 작업을 통해 세트 앵글의 명성과 팀 규모를 성장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그래픽 애니메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탄탄한 비트 뒤에 숨겨진 영감과 제작 과정을 파고들며, 임세티는 모든 것은 사운드트랙에서 시작된다고 말합니다. "음악을 듣고 있으면, 형태와 색상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곡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코드화된 언어를 머릿속에 심어주는 일종의 공감각과 같은 거죠"라고 그는 말합니다. 이러한 음악적 비전을 활용하여 그는 콘텐츠의 시각적 방향과 안무를 결정하는 트랙을 깔고, 이를 빠르게 연필 스케치로 옮긴 다음 After Effects에서 대략적인 흐름을 작업합니다. 

Cinema 4D로 넘어가면, 그의 유동적이고 실험적인 워크플로우는 기본 형태, 다양한 각도와 관점, 소재, 셰이더를 가지고 노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저는 Sketch and Toon 셰이더로 이것저것 만져보거나, Redshift에서 조명을 활용해 재미있는 시도를 해보는 걸 정말 좋아해요"라고 그는 말합니다. 자신의 비전에 맞는 스타일 프레임과 애니메이션 테스트를 완료하고 나면, 그는 그것들을 하나씩 이어 붙여 정교하게 다듬기 시작합니다.

자신의 스타일에 담긴 창의적 에너지와 분위기를 형성해온 프로젝트와 도구들을 풀어내며, 임세티는 Beeple Studios 의뢰로 제작한 몰입형 뮤직 비주얼인 "The Breakdown"을 깊이 있게 들여다봅니다.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Beeple, 본명 Mike Winklemann)의 의뢰로, 임세티는 기브스 미술관과 함께한 아트 찰스턴 행사에 참여했으며 그의 뮤직 비주얼은 Beeple Studio의 몰입형 180도 벽면 스크린에 투영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추상적인 성격은 Maxon One을 "마법의 장난감 상자"라고 표현하며 실험하기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역동적인 요소를 창조할 신선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그는 Cinema 4D의 MoGraph 이펙터를 실험했으며, 이는 그래픽 이퀄라이저를 연상시키는 형태로 변형되는 역동적인 도시 풍경을 만들기에 최적의 도구임을 입증했습니다. 턴테이블과 몇몇 3D 그래픽에 부드러운 글로우 효과를 주고 싶었던 그는 Red Giant의 Magic Bullet Looks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로 탄생한 파티 감성은 그의 창작 세계를 완전히 바꿔 놓았습니다. "저는 이제 Magic Bullet을 기술적으로 설계된 방식과는 다른 독특하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실사 영상에는 사용하지 않지만, 2D 구성에서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색 구성과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하죠"라고 그는 말합니다. 

믹스테이프 프로듀서이자 DJ인 J.PERIODE에게 바치는 시각적 헌정 작품인 'ABSTRACT'의 다층 그래픽을 제작하는 과정은 그가 계속해서 활용하고 있는 새로운 기법을 탐구할 수 있는 또 다른 좋은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임세티는 'The [Abstract] Best of Q-Tip'의 비트, 리듬, 샘플링 아트에서 영감을 받은 개인 프로젝트에서 Sketch & Toon 셰이더로 범프 맵 그레인 소재를 실험하면서 2D 및 3D 그래픽에 거칠고 질감 있는 그래픽 스타일을 적용하고 이를 정교하게 다듬었습니다. J.PERIOD의 샘플링 사운드트랙에 맞춰 애니메이션을 적용한 결과물은 전설적인 프로듀서이자 DJ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이를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소개하고 공유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트 앵글의 태그라인인 '평범함을 비범함으로(transforming the ordinary into the extraordinar)'를 강조하기 위해 제작한 두 개의 자체 홍보 광고는 iPhone의 계산기와 시계 앱의 디자인을 한층 고급스럽게 끌어올리며, UI 디테일에 세련된 광택과 우아함을 더했습니다. 

Cineware를 활용해 휴대폰을 After Effects 애니메이션에 연동한 결과, 매우 자연스럽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는 시각적인 임팩트를 살리기 위해 3D 요소가 조금 더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Cinema 4D에서 셰이딩을 마친 후, 휴대폰에만 Magic Bullet Looks 효과가 적용되도록 마스크로 처리해봤어요. 색상과 대비를 조정하여 흥미로운 효과를 얻었고, 그 덕분에 클로즈업 샷에서 반짝임과 작은 테두리 빛 효과를 만들 수 있었죠"라고 그는 말합니다. 

Maxon One의 4월 프로모션으로 다시 돌아가서, 임세티는 그의 실험적인 접근이 각 도구의 장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각기 다른 새롭고 독창적인 시각과 기법을 지닌 아티스트들로 구성된, 마치 어벤져스를 연상시키는 팀이 결성되면서 그의 작업 세계는 더욱 풍부해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선택한 사운드트랙 덕분에 전체적으로 템포가 빠르고 '클릭감' 있는 느낌이 살아 있어서, 여러 번 봐도 질리지 않을 만족스러운 결과물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Maxon One과 함께한 지 5년이 지난 지금 임세티에게 창의성은 여전히 무한한 실험의 장이 되어주며, 그만의 독특한 스타일과 목소리를 끊임없이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헬레나 스완(Helena Swahn)은 영국 런던에 거주하는 작가입니다.